DI
의존 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도 하며,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게 아니라, 주입 받아 사용하는 방법
Bean
1. Bean 정의
(ioc 기능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객체들)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의존주입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
xml -> @ (어노테이션) 형태로 변경되서 사용한다.
(ex. @Service, @Bean, @Autowired ...)
2. 스코프
싱글톤: 하나
프로토타입: 매번 다른 객체
3. 라이프사이클 인터페이스
interface ApplicationContext를 주로 사용한다.
BeanFactory와 여러가지를 상속 받는다.
ApplicationEventPublisher, BeanFactory, EnvironmentCapable, HierarchicalBeanFactory, ListableBeanFactory, MessageSource, ResourceLoader, ResourcePatternResolver
빈팩토리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추가적으로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를 구현하고 있긴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별도의 beanfactory를 유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AOP 구현 (1) (0) | 2021.01.28 |
---|---|
@Configuration과 @Bean, @Component 차이 (0) | 2021.01.27 |